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투자하는데 알아야 하면 좋은 게 있을까요? 그냥 이자율 높은 예금이라 생각하고 미국 s&p500이랑 나스닥100에 투자하려 합니다.딱히

그냥 이자율 높은 예금이라 생각하고 미국 s&p500이랑 나스닥100에 투자하려 합니다.딱히 팔 생각 없고 모으기만 할 예정인데 나중에 필요할 때 팔면 나올 세금이 무섭습니다. 찾아보니 세금 아끼는 방법이라며 이것저것 방법을 알려주긴 하는데 아직 이해가 부족한 것 같습니다.증권사는 접근성이 좋아 토스를 사용하고 있고 투자는 pppm과 splg를 모으고 있습니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여기서 추가로 해야 할 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미국 S&P 500과 나스닥 100에 장기 투자하는 것은 훌륭한 전략입니다. 투자를 계속 모으기만 할 계획이시라면 세금 문제와 수익률 극대화에 대해 알아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알려드릴게요.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가장 신경 쓰이는 부분이 바로 세금일 것입니다. 해외 주식 투자로 얻은 수익(양도차익)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기본 공제: 연간 250만 원의 기본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 세율: 기본 공제액(250만 원)을 초과하는 양도차익에 대해 22%(지방소득세 포함)의 단일세율이 적용됩니다.

핵심: 양도소득세는 주식을 팔아서 수익을 실현할 때 부과됩니다. 따라서 계속 모으기만 하신다면 당장 세금을 낼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세금 절세 팁

  • 분할 매도: 연간 250만 원의 기본 공제 혜택을 활용하여 여러 해에 걸쳐 수익을 나눠서 실현하면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0만 원의 수익이 났을 때 한 번에 팔면 250만 원에 대한 세금(22%)을 내야 하지만, 2년 동안 250만 원씩 나눠 팔면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습니다.

  • 절세 계좌 활용: 연금저축펀드(IRP, 연금저축)나 중개형 ISA 계좌에서 해외 ETF에 투자하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금저축계좌: 매년 세액공제 혜택을 받고, 은퇴 후 연금을 받을 때까지 매도 시점에 발생하는 세금을 유예할 수 있습니다.

  • 중개형 ISA 계좌: 순이익의 200만 원(서민형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초과분에 대해서는 9.9%의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2.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추가 전략

이미 SPLG와 QQQM에 투자하고 계신 것은 좋은 출발입니다. 수익률을 높이려면 다음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리밸런싱: S&P 500과 나스닥 100은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장기적으로 한쪽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지면 목표 비중에 맞춰 다시 맞추는 리밸런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환율 변동성 관리: 해외 투자는 환율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환율 상승기에는 달러 자산의 가치가 오르고, 환율 하락기에는 반대가 됩니다. 환율의 움직임에 따라 투자금을 조절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장기 투자 시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 배당 재투자: SPLG와 QQQM은 정기적으로 배당을 지급합니다. 이 배당금을 다시 해당 ETF에 재투자하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여 장기적인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토스증권 앱에서 배당금이 자동으로 재투자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추가 자산군 분산 투자: S&P 500과 나스닥 100은 기술주 중심의 성장주 성격이 강합니다. 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원한다면 채권 ETF(예: 미국 국채 ETF)나 금 ETF 등을 포트폴리오에 일부 추가하여 자산을 분산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금의 투자 방식은 매우 훌륭합니다. 세금은 나중에 팔 때 고민해도 늦지 않으니, 일단은 꾸준히 모으는 데 집중하시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산 관리 전략을 세워보세요.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