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시작하신 거 정말 잘하셨어요. 궁금하신 점을 하나씩 간단하게 설명드릴게요.
토스 주식모으기 = 일반 계좌
맞습니다. 토스의 주식모으기는 일반 주식계좌로, ISA처럼 세제 혜택은 없습니다. 수익이 나면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등을 낼 수 있어요.
S&P 500 ETF가 국내/해외로 나뉘는 이유
국내상장 ETF: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ETF로, 예를 들어 "TIGER 미국S&P500"처럼 원화로 거래됩니다. 국내 상품이라서 ISA 계좌로 사면 비과세 한도 내에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해외상장 ETF: 미국 증시에 직접 상장된 ETF (예: SPY, IVV 등)로, 달러로 거래하고 환전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 ISA 계좌에서는 세제 혜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결론: ISA 계좌에서 S&P500 ETF를 사려면 국내 상장된 상품으로 사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해외 상장은 혜택이 없어요.
S&P500 ETF 종류가 많은 이유
이름은 비슷하지만 운용사, 보수, 추종 방식 등이 달라요.
예를 들어:
TIGER 미국S&P500 (미래에셋)
KODEX 미국S&P500TR (삼성자산운용)
KBSTAR 미국S&P500
주요 차이점은:
총보수 (운용 수수료 수준)
분배금(배당)을 재투자하는지 (TR: Total Return)
환헤지 유무 (환율 변동을 막는 기능, 대부분은 "환헤지 안 함")
장기투자라면 보수가 낮고, 추종 정확도 높은 ETF를 고르는 것이 좋아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