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 7월에 직장(대학병원) 퇴사하고 임이계속가입을 신청하려고 했는데확인해보니 이전 보험료보다 지역보험료가 훨씬

7월에 직장(대학병원) 퇴사하고 임이계속가입을 신청하려고 했는데확인해보니 이전 보험료보다 지역보험료가 훨씬 저렴하네요 .. 20대, 현재 무직입니다. 지역보험료가 재직시보다 더 저렴한 이유는 뭔가요? 그리고 이후에 지역보험료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나요? 이 경우에는 지역가입자로 보험료 납부하는게 나은거죠?

7월에 직장(대학병원) 퇴사하고 임이계속가입을 신청하려고 했는데 확인해보니 이전 보험료보다 지역보험료가 훨씬 저렴하네요 ..

20대, 현재 무직입니다. 지역보험료가 재직시보다 더 저렴한 이유는 뭔가요?

그리고 이후에 지역보험료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나요? 이 경우에는 지역가입자로 보험료 납부하는게 나은거죠?

  • 귀하의 경우 직장가입자로서 임의계속가입자로 신청한다면 월급(보수월액)의 7.09%를 기준(2025년)으로 보험료가 산정됩니다. 임의계속가입을 신청하면 퇴직 전 회사 다닐 때 기준 소득에 따라 비슷한 수준의 보험료가 계속 부과됩니다. 따라서 현재 본인(세대)의 소득, 재산, 자동차 등 실제 생활 수준을 반영해서 건강보험료가 산정됩니다. 20대에 별다른 소득이 없고 무직이거나 재산 및 차량이 없거나 적은 경우라면 보험료가 최소(최저) 수준으로 부과 되는 것입니다.

  • 임의계속가입은 원래 회사와 나눠내던(본인 50%+회사 50%) 보험료 전체를 본인이 모두 부담해야 하므로 실질 부담 자체는 오히려 커질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지역보험료는 소득·재산이 적으면 매우 낮게 나오는 것이 특징이라 할 것입니다.

  • 지역가입자 보험료는 본인 명의의 소득, 재산, 차량 등록 등 변동에 따라 조정됩니다. 새로 소득이 생기거나(예: 재취업, 의무적 신고소득 발생), 차량·부동산 취득 등이 있으면 보험료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장기간 무직·무소득, 신용카드 사용내역 등 실제 경제활동 증빙이 적을수록 보험료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20대, 무직, 소득·재산 거의 없기에 대체로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훨씬 저렴하게 부과될 것입니다.

  • 임의계속가입제도는 퇴직 직후 보험료 폭등을 막기 위한 장치이지만 별도 소득이 없고 생활수준이 낮으면 지역보험료가 ‘최저액’으로 산정될 수 있어 실제 부담이 적습니다. 재취업·사업 등으로 소득 정보가 공단에 연계되면 보험료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위와 같은 내용을 참고하시어 가입 초기에는 지역보험료가 낮지만 추후 소득·재산 변동 여부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으니 현명하게 선택하여 가입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