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캐나다 원주민의 삶이 궁금해요 !! 캐나다 원주민의 삶에대해 알려주세요 !!

캐나다 원주민의 삶이 궁금해요 !! 캐나다 원주민의 삶에대해 알려주세요 !!

캐나다 원주민의 삶에대해 알려주세요 !!

i

원주민은 거의 없고 동화 되었습니다

18세기 후반부터 유럽계 캐나다인들은 원주민들 자신들의 문화에 동화시키려고 하였다. 그들은 이를 "캐나다 문화" 정착이라고 표현하였다.[101][102] 동화 정책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절정에 달했는데, 이는 유럽계 캐나다인의 문화 제국주의적 정치 성향 때문이었다.[103] 동화 정책에 따라 원주민 아동을 기숙사에 수용하는 인디언 기숙 학교 제도가 시행되었는데 이는 제노사이드에 다름 없다는 비난을 받았다. 기숙 학교는 부모의 의사에 상관없이 아동들을 원주민 문화로부터 격리하여 언어를 비롯한 모든 생활 양식을 유럽계 문화에 편입시키고자 하였다.[103] 인디언 기숙 학교에 대한 진실과 화해 위원회는 2006년 보고서에서 기숙 학교 제도를 운영하면서 원주민을 이주 시키기 위해 사용한 비용은 모두 2억 캐나다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인디언 기숙 학교 제도는 캐나다 원주민과 유럽계 양쪽 사회 모두에 큰 상처를 남겼다.[104] 2008년 스테펀 하퍼 총리는 캐나다 정부와 시민의 대표로서 기숙 학교 제도에 대해 사과하였다.[105]

법률과 정책[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 군주제와 원주민입니다.

연번(連番) 조약 3, 4, 5, 6, 7 호를 기념하는 메달. 앞면에 빅토리아 여왕의 이미지를 넣었고 뒷면에 “인디언 조약 제 _ 호”의 문구와 영국인과 추장이 조약을 맺는 이미지를 넣었다.

캐나다 지역별 연번 조약 연도

1983년 법안 C-31을 제안하고 있는 전 인디언 사무 및 북부 개발 장관 데이비드 크롬비

조약[편집]

연번 조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캐나다 군주제와 원주민은 캐나다 식민지화 이래 연번 조약, 인디언 법, 1982년 캐나다 헌법 등을 통해 법률적 관계를 가져왔다. 이들 조약 및 법률의 당사자는 캐나다 원주민과 캐나다의 군주제로서 캐나다 내각은 당사자가 아니다.[106] 뉴질랜드마오리족 역시 이와 비슷한 와이탕기 조약을 맺었다.[107] 연번 조약은 총 11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1871년부터 1921년까지 차례로 채결되었다. 캐나다 정부는 조약에 대한 정책을 입안하고 조약 채결 후 이를 승인하였다. 조약의 집행은 캐나다 원주민 법에 의해 인디언 사무 및 북부 개발 장관이 관할하였다.[108]

〈퍼스트 네이션과 연방 군주제 사이의 정치 협정〉은 캐나다의 여왕의 권리를 인정하며 캐나다와 원주민 사이에 상호 협력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106] 캐나다 대법원은 이 협정을 “이미 존재하여온 원주민의 주권과 군주제의 주권을 조정하여 원주민의 권리를 정의하는”것으로 해석한다.[109] 퍼스트 네이션에 속한 부족들은 연번 조약 8호에서 이 조약의 효력이 “태양이 빛나고 풀들이 자라며 강들이 계속 흐르는 한”지속된다고 해석하였다.[110]

인디언 법과 법안 C-31[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인디언 법입니다.

캐나다 인디언 법은 1876년 재정된 이후 20회 이상 개정되었으며, 1951년 개정 이후 오랫동안 유지되어 오다가 1985년 법안 C-31에 의해 개정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법안 C-31은 원주민의 정의와 부족들의 분류 및 보호 정책을 내용으로 하였다.[111] 1985년 캐나다 의회는 법안 C-31을 의결하였고, 이로서 법안 C-31은 현행 인디언 법이 되었다.[112]

왕립 위원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원주민에 대한 왕립 위원회입니다.

왕립 위원회영연방에서 자치 국가 내의 문제를 조정하는 위원회로, 원주민에 대한 왕립 위원회는 1991년 캐나다 정부에 의해 소집되었다.[113] 이 위원회에서는 캐나다 인디언 기숙 학교 제도와 정부의 각종 원주민 정책에 대한 권고안 등을 다루었다.[114] 위원회는 1996년 총 5권 4천 페이지의 최종 보고서를 발표하여 440개 항의 권고안을 원주민과 비원주민 및 캐나다 정부에 제시하였다.[113] 보고서는 “향후 20년의 변화를 위한 기반”이라고 평가되었다.[115]

건강 정책[편집]

1995년 캐나다 정부는 인디언의 자치 정책을 발표하였다.[116] 이 정책으로 퍼스트 네이션에 속한 부족들과 이누이트는 고유의 역사, 문화, 정치, 경제 사정을 감안한 독자적인 자치 정부를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캐나다 정부가 원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건강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인정하는 가운데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밝히고 있다.[117][118] 이 정책에 따라 2000년 국립 원주민 의료 기구가 설립되었다.[119]

정치 조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퍼스트 네이션 정부, 메티스 전국 회의이누이트 극지 회의입니다.

퍼스트 네이션과 이누이트는 부족 사회를 기준으로 정치 조직을 수립하고 있고, 이로쿼이와 같은 연맹체는 드물다. 퍼스트 네이션의 지도자들은 퍼스트 네이션 의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는 1968년 시작된 전국 인디언 형제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120]

오늘날 원주민의 자치 정치 조직은 매우 다양하여 메티스와 비정형 인디언을 위한 연방 교섭단은 유럽 형태의 조직을 갖추고 있고, 다른 여러 원주민들은 다양한 정치 성향과 관점, 형태를 지니고 있다.[121] 퍼스트 네이션과 메티스, 이누이트는 인디언 사무 및 북부 개발부를 통해 캐나다 정부와 교섭한다.[120] 각각의 퍼스트 네이션들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이다.[120]

문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캐나다 원주민의 문화입니다.

캐나다 원주민들은 유럽인이 도래하기 수 천년 전부터 고유의 예술을 발달시켜 왔다. 각각의 퍼스트 네이션들은 고유의 문화를 바탕으로한 물품을 만들고 서로 거래하였다. 캐나다 원주민의 문화는 크게 보아 북서해안 문화, 고원 문화, 평원 문화, 동부 산림 문화, 아극권 문화, 극권 문화로 나뉠 수 있다.[122] 문화기술지에서는 아래의 지도와 같이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권을 구분하고 있다.[123]

지도의 문화권 가운데 캐나다 지역에 해당하는 문화권은 다음과 같다.

설피를 만들고 있는 캐나다 원주민. 1900년 경 촬영

추티나 네이션(Tsuu T'ina Nation)의 축제 행렬에 참가한 어린이

메티스 전통 의상을 입은 소녀

북춤을 추는 원주민

북아메리카 원주민으로부터 유래한 문화는 샐 수 없이 많다. 카누, 터보건, 라크로스, 메이플 시럽, 담배와 같은 것들이 그것이다.[124] 바베큐, 해먹, 말코손바닥사슴을 가리키는 “무스”와 같은 낱말 역시 북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언어에서 비롯되었다.[125] 캐나다의 지명 가운데에는 원주민어를 그대로 차용하거나 번역하여 사용하는 것이 많다. “캐나다”란 이름 자체도 이로쿼이 어로 마을 또는 정착지를 뜻하는 낱말에서 비롯되었다.[126] 서스캐처원주의 이름은 그곳을 지나는 서스캐처원강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크리어 "키시스캇체완 시피"(Kisiskatchewani Sipi)"에서 온 것으로 “빠르게 흐르는 강”이란 뜻이다.[127] 캐나다의 수도 오타와알곤퀸어 “아다웨”(adawe)가 어원으로 “거래하는 곳”이란 뜻이다.[127] 청소년 단체인 스카우츠 캐나다걸가이드스 오브 캐나다에서는 다양한 캐나다 원주민의 도구와 예술, 독특한 캠핑 방식과 생존술 등을 가르치고 있다.[128]

원주민 문화 지역은 오랜 시간 동안 원주민들이 정착하여 사는 곳이나 유럽인의 도래 이후 이주하여 사는 곳으로 캐나다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14]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태평양 북서 해안 원주민들은 해안이나 강변에서 어로를 주로 하면서 정착하였다. 중부 평원 지역의 원주민 사회에서는 아메리카들소를 사냥하였고, 그보다 북쪽의 타이가 지역에서는 말코손바닥사슴, 즉 무스를 사냥하였다. 한편, 오대호와 세인트로렌스강 주변에 정착한 원주민들은 곡식을 경작하였다.[14] 이누이트들은 순록, 어류, 그리고 기타 해양 포유류를 사냥하였다.[129]

연번 조약 7호에 의해 발효된 인디언 보호 구역은 캐나다의 법률로서 퍼스트 네이션의 영토와 자치 지역을 설정하고 있다.[130] 서스케처원 주의 프린스 엘버트시에 있는 오파이코스키칸 보호 구역이나 퀘벡 시의 웬다케, 앨버타 주의 스토니 플래인 135와 같이 일부 보호 구역은 도심에 있는 경우도 있다. 각각의 보호 구역은 서로 다른 여러 조약들에 의해 설정된 것이다.[131] 오늘날 많은 원주민들이 고향을 떠나 다양한 일에 종사하며 살고 있다. 그러나, 선조들로부터 전해진고유 문화는 이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14] 캐나다의 전국 원주민의 날은 퍼스트 네이션과 메티스, 이누이트의 문화를 알리고 서로의 화합을 위한 행사로 1996년 6월 21일 시작되었고[15],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15]

언어[편집]

캐나다에는 11개의 원주민 언어가 있으며 방언을 구분하면 65개에 달한다.[132] 그러나 오늘날 다중의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는 크리어, 이누이트어, 오지브웨어 정도 이고 다른 언어 사용자는 극소수이다.[133] 캐나다의 지방 가운데에는 영어와 프랑스어 외에 원주민어를 공용어로서 인정하고 있는 두 곳이 있는데, 누나부트 준주에서는 이누크티투트어와 이누인나크툰어를 공용어로서 사용한다. 이누크티투트어는 누나부트 외에도 북부의 여러곳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134]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공용어법”을 재정하여 영어, 프랑스어, 치페위안어, 크리어, 티크야티어(Tłı̨chǫ Yatıì), 슬라비어, 그위치인어와 이누인나크툰어, 이누크티투트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다.[135] 그러나, 정부 내에서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민원 접수 역시 영어와 프랑스어로만 이루어지고 있다.[133]

캐나다 원주민 언어

화자의 인구

모어 인구

공동체를 이루어

사용하는 인구

99,950

78,855

47,190

35,690

32,010

25,290

32,460

11,115

11,115

이누-아이문어

11,815

10,970

9,720

디네술린어

11,130

9,750

7,490

오지-크리어

12,605

8,480

8,480

8,750

7,365

3,985

시옥스어

6,495

5,585

3,780

아티카메크우어

5,645

5,245

4,745

블랙풋어

4,915

3,085

3,085

출처: Statistics Canada, 2006 Census Profile of Federal Electoral Districts (2003 Representation Order):

Language, Mobility and Migration and Immigration and Citizenship. Ottawa, 2007, pp. 2, 6, 10.

예술[편집]

캐나다 원주민 각각의 문화는 매우 다양하여 일괄하여 설명하기 어렵다. 더욱이 서로의 문화가 섞이고 유럽인의 도래이후 유럽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매우 다양한 문화를 만들어 내었다.[122] 문화박물관에 수집된 원주민의 문화재 가운데에는 유럽인들과의 무역을 통해 들어온 금속과 유리를 이용한 공예품을 살펴볼 수 있다.[136] 특히, 원주민과 유럽계의 혼혈인 메티스의 문화에는 혼합문화적인 특징이 두드러진다.[137] 캐나다 정부가 19세기에서 20세기 전반 사이에 펼친 동화정책으로 한 때 태양춤, 선물 잔치와 같은 원주민 고유의 문화가 금지되기도 하였다.[138]

음악[편집]

원주민의 음악 역시 서로 다른 다양한 전통이 있다. 원주민 사회에서 음악은 공적인 회합의 자리나 사적인 축하의 자리에서 두루 쓰였다. 공적인 회합에서는 과 같은 악기를 사용한 춤을 추기위한 음악이 연주되었고, 사적인 음악으로는 타악기 반주를 곁들인 노래를 불렀다. 태양춤은 여러 사람이 함께 어울려 춤추고 노래한 것이지만, 그 내용은 노래하는 사람 자신과 가족, 그리고 찾아온 친구의 안녕을 기원하는 사적인 것이었다.

전통적으로 캐나다 원주민들은 스스로 악기를 만들어 연주하였다.[139] 퍼스트 네이션들은 통이나 동물의 뿔과 같은 재료로 악기를 만들고 그 위에 화려한 색상의 장식을 하였다.[140]

인구[편집]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원주민은 총 1,673,785 명으로 전체 인구의 4.9%이다. 이는 지난 십년 주기의 조사결과인 1996년의 2.8%, 2006년의 3.8%에 이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준다.[13] 이 가운데 977,230 명은 퍼스트 네이션 (2006년 대비 39.3% 증가), 587,545 명은 메티스 (2006년 대비 51.2% 증가), 65,025 명은 이누이트이다 (2006년 대비 29.1% 증가).

지역

인구

지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퍼스트

네이션

메티스

이누이트

다계혼혈

기타**

270,585

5.9%

172,520

89,405

1,615

4,350

2,695

258,640

6.5%

136,590

114,370

2,500

2,905

2,280

175,020

16.3%

114,565

57,875

360

1,305

905

223,310

18.0%

130,505

89,360

605

2,020

820

374,395

2.8%

236,685

120,585

3,860

5,725

7,540

182,890

2.3%

92,650

69,360

13,940

2,760

4,170

29,385

4.0%

17,570

10,205

385

470

750

51,490

5.7%

25,830

23,315

795

835

720

2,740

2.0%

1,870

710

75

20

65

45,725

8.9%

28,370

7,790

6,450

560

2,560

8,195

23.3%

6,690

1,015

225

160

105

20,860

50.7%

13,180

3,390

4,080

155

55

30,550

85.9%

190

165

30,140

55

10

캐나다 전체

1,673,780

4.9%

977,230

587,545

65,025

21,310

22,670

* 출처: 2016 Census[13]

** 기타: 원주민 혈통이나 스스로를 퍼스트 네이션, 메티스, 이누이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여기는 인구[13]